2021년도 본인부담상한액 안내
1. 관련근거
❍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제19조 제4항(별표 3 요양급여비용 중 본인이 부담하는 상한액).
2. 연도별 본인부담상한액.
연도 |
연평균 보험료 분위 저소득 → 고소득 |
|||||||
1분위 |
2~3분위 |
4~5분위 |
6~7분위 |
8분위 |
9분위 |
10분위 |
||
2009~2013년 |
200만원 |
300만원 |
400만원 |
|||||
2014년 |
120만원 |
150만원 |
200만원 |
250만원 |
300만원 |
400만원 |
500만원 |
|
2015년 |
121만원 |
151만원 |
202만원 |
253만원 |
303만원 |
405만원 |
506만원 |
|
2016년 |
121만원 |
152만원 |
203만원 |
254만원 |
305만원 |
407만원 |
509만원 |
|
2017년 |
122만원 |
153만원 |
205만원 |
256만원 |
308만원 |
411만원 |
514만원 |
|
2018년 |
80만원 |
100만원 |
150만원 |
260만원 |
313만원 |
418만원 |
523만원 |
|
|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
124만원 |
155만원 |
208만원 |
||||
2019년 |
81만원 |
101만원 |
152만원 |
280만원 |
350만원 |
430만원 |
580만원 |
|
|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
125만원 |
157만원 |
211만원 |
||||
2020년 |
81만원 |
101만원 |
152만원 |
281만원 |
351만원 |
431만원 |
582만원 |
|
|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
125만원 |
157만원 |
211만원 |
||||
2021년 |
81만원 |
101만원 |
152만원 |
282만원 |
352만원 |
433만원 |
584만원 |
|
|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
125만원 |
157만원 |
212만원 |
<본인부담상한액>
2021년 기준으로 소득1분위는 81만원, 2~3분위는 101만원, 4~5분위는 152만원으로, 6~7분위는 282만원, 8분위는 352만원, 9분위는 433만원, 10분위는 584만원으로 변경 .
(단,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초과인 경우 소득1분위는 125만원, 2~3분위는 157만원, 4~5분위는 212만원 적용)
※ 적용기간: 2021.1.1 ~ 2021.12.31(진료일 기준)
※ 2018년부터 요양병원 입원일수 120일 초과 여부에 따라 1~5분위까지 상한액 차등 적용.
3. 본인부담상한액 산정방법
가. 계산식
❍ 해당 연도 본인부담상한액 = 전년도 본인부담상한액 × (1 +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
※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통계청 2020.12.31 발표): 0.5%
나.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은 「통계법」 제3조에 따라 통계청장이 매년 고시하는 전전년도와 대비한 전년도 전국소비자물가변동률을 적용하되, 그 전국 소비자물가변동률이 100분의 5를 넘는 경우에는 100분의 5를 적용.
다. 해당 연도 본인부담상한액을 산정한 경우에 1만원 미만의 금액은 버림.
4. 적용기간 : 2021.1.1.~2021.12.31.(진료일 기준)
5. 적용방법
○ 상한제 사전급여: 같은 요양기관에서 연간 본인부담금 총액이 584만원을 넘을 경우 진료받은 사람은 584만원까지만 납부하고 그 초과액은 요양기관이 공단에 청구하여 지급 받음.
○ 상한제 사후환급: 연간 본인부담금 총액이 본인부담상한액을 넘고 사전급여를 받지 않은 경우 그 초과액을 공단이 환급.
- 본인부담상한액 산정 전(’22년 7월): 요양급여내역의 본인부담금 누적액이 584만원을 넘을 경우 그 초과액을 지급.
- 본인부담상한액 산정 후(’22년 8월) : ’21년 보험료 부담수준에 따라 결정한 본인부담상한액과 최고상한액(584만원)과의 차액을 정산 지급.
'간호 고시 기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시 기준> 고시 제2017-246호(약제) Palivizumab주사제 (품명: 시나지스주 등) (0) | 2021.02.08 |
---|---|
<고시 기준> 고시 제2020-70호(치료재료) 자동봉합기의 급여기준 (0) | 2021.02.05 |
<고시 기준> 고시 제2020-135호(행위) 나799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급여기준 (0) | 2021.02.05 |
<고시 기준> 고시 제2018-281호(행위) 가33 소아 진정관리료의 급여기준 (0) | 2021.02.05 |
<고시 기준> 고시 제2018-59호(치료재료) ‘은 함유’ 드레싱류의 급여기준 (0) | 2021.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