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 제2019-229호(행위) 흉부, 흉부 혈관, 복부, 복부 혈관 자기 공명 영상진단(MRI) 급여기준
1. 흉부, 흉부 혈관, 복부, 복부 혈관 자기 공명 영상진단(MRI) 기본 및 특수검사는 다음의 경우 요양 급여한다.
- 다 음 -
가. 급여대상
1) 아래의 흉복부 부위 질환이 있거나, 이를 의심하여 진료의가 임상적으로 타 진단 방법 이후 2차적 시행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 아 래 -
가) 흉복부 부위의 악성종양(전이성 포함)
단, 위암은 타 진단 방법에서 임상병기 T4 혹은 크기가 5cm 이상으로 확인된 경우에 한한다.
나) 흉복부 부위의 양성종양.
(1) 간 선종
(2) 소아의 위장관 기질 종양 또는 신경내분비종양.
(3) 췌장 낭성종양, 췌장 또는 담도 신경내분비종양.
(4) 후 직장 종양.
(5) 조직검사에서 확인된 전립선 양성 병변:HPIN(High grade Prostate Intraepithelial Neoplasia), ASAP(Atypical Small Acinar Proliferation).
(6) 흉부 부위의 신경원 성종 양 또는 기관지성 낭종(Bronchogenic cyst).
다) 기타 질환
(1) 간 이형성 결절: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
(2) 자가면역성 췌장염, 원인불명의 재발성 급성 췌장염.
(3) 담관 또는 췌관의 협착, 확장, 누공.
(4) 간내 담석.
(5) 크론병: 크론병 진단 이후 소장 또는 직장 또는 항문병변이 의심되는 경우.
(6) 대동맥박리, 거대세포 동맥염.
(7) 대동맥 또는 대정맥의 선천기형.
(8) 복부 외상.
(가) 간담도 또는 췌장의 외상.
(나) 중증의 다발성 복부 장기 손상.
2) 타 진단장비 이용이 불가하여 MRI 촬영이 불가피한 경우.(사구체여과율 60ml/min 이하의 신장기능 저하 환자로 조영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 임산부 등)
3) 아래 각 호에 해당하여, 진료의가 임상적으로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 아 래 -
가) 장기이식.
(1) 간이식술 시행 전(장기를 제공하는 경우 포함).
(2) 췌장이식 또는 신장이식 후 이식 장기의 기능장애가 의심되는 경우.
나) 총담관 결석.
- CT에서 총담관 결석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로 총담관 확장 소견이 있거나, 임상증상 또는 혈액검사 등에서 방사선 투과성 결석이 의심되는 경우.
다) 다낭성 신장.
- 타 진단 방법에서 다낭성 신장의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라) 유착태반
(1) 초음파 검사에서 전치태반이 진단되어 태반의 유착 여부 확인이 필요한 경우.
(2) 분만 이후 초음파 검사에서 잔여 태반이 진단되어 태반의 유착 여부 확인이 필요한 경우.
마) 자궁근종
- 가임능력 보전을 위한 자궁근종절제술 시행 전 근종의 개수 또는 위치 확인이 필요한 경우.
바) 심부 자궁내막증
- 자궁 후벽, 직장, 방광 등의 심부 자궁내막증 의심 소견이 있는 경우로 초음파 검사에서도 동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사) 자궁 또는 자궁경부 또는 질 선천기형
- 타 진단 방법에서 임신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MRKH(Mayer Rokitansky Kuster Hauser) 증후군 등의 선천기형이 확인된 경우.
아) 하부 비뇨기계(방광, 요도) 또는 남성 생식기의 선천기형
- 타 진단 방법에서 배뇨장애 또는 생식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선천기형이 확인된 경우.
자) 요도 질환
- 타 진단 방법에서 확인된 요도 게실, 요도협착 등으로 수술 시행 전 요도와 주위 조직 및 주변 장기와의 해부학적 구조 확인이 필요한 경우.
나. 급여 횟수: 상기 가. 의 급여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1) 진단 시: 1회.
2) 추적검사 (단, 상기 가. 3)은 제외)
가) 상기 나. 1) 시행 후 간세포암 확진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나, 간세포암 의증 소견에 해당하는 경우: 3~6개월 후 1회.
나) 방사선 치료(방사선 수술 포함) 시행 전 범위 결정 등으로 촬영한 경우: 필요시 1회.
다) 수술(중재적 시술 또는 내시경 시술 포함) 후: 1회.
라) 방사선 치료(방사선 수술 포함) 후: 1~3개월 경과 후 1회.
마) 항암치료 중: 2-3주기(cycle) 간격.
3) 상기 나. 1) 또는 나. 2) 이후의 장기 추적검사
가) 악성종양: 2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년
단, 상기 가. 2)의 환자가 간세포암을 진단받은 경우에는 3회/년 5년간, 그 이후 1회/년.
나) 양성종양 등
(1) 간 선종: 1회/2년 (최대 6년).
(2) 췌장 낭성종양(수술을 시행한 경우 제외).
- 크기가 1cm 이상 3cm 미만인 경우에 한해 1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2년 8년간 (최대 10년).
- 단, 악성화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2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2년 8년간 (최대 10년).
(3) 췌장 또는 담도 신경내분비종양(수술을 시행한 경우 제외)
- 악성화가 의심되는 경우 2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2년 8년간 (최대 10년).
(4) 후 직장 종양(수술을 시행한 경우 제외): 1회/년 2년간.
(5) 조직검사에서 확인된 전립선 양성 병변(HPIN, ASAP): 2회/년 2년간
(6) 간 이형성 결절: 1회/년 (최대 5년)
(7) 상기 가. 2)의 환자가 부신종양을 진단받은 경우: 2회/년 2년간
(8) 상기 가. 2)의 환자가 대동맥박리 또는 대동맥류를 진단받은 경우: 1회
4) 상기 나. 1)~3)에도 불구하고, 환자상태의 변화 또는 새로운 병변 발생 등 진료상 추가 촬영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추가 인정한다.
다. 상기 가. 의 급여대상 이외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 또는 상기 나. 1)~3)의 급여 횟수 초과 시「선별급여 지정 및 실시 등에 관한 기준」에 따라 본인부담률을 80%로 적용함. (단, 최대 기간이 명시된 경우는 최대 범위 내에 한함.).
- 아 래 -
1) 자궁선근종
-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선근종(adenomyoma)이 확인되어, 치료방향 결정을 위해 자궁근종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2) 복잡 치루
가) CT에서 치루관의 주행 경로 파악이 매우 어려운 경우.
나) 직장 질투를 동반한 경우.
다) 직장수술 후 또는 골반 부위 방사선 치료 후 또는 악성종양 진단 이후 2차적으로 발생한 경우.
3) 항문괄약근 손상 혹은 협착이 있는 변실금.
- 항문괄약근 손상 혹은 협착으로 초음파 probe 삽입이 어려운 변실금 환자에서 근전도 검사(EMG)를 시행하고 항문괄약근 성형술 전 외 괄약근 상태와 위축 여부 확인이 필요한 경우.
라.「본인 일부 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별표 4] 희귀 질환자 산정특례 대상의 구분 2~5, [별표 4의 2] 중증 난치질환자 산정특례 대상의 구분 5, [별표 5] 시행령 별표 2 제3호 가목 3)에 따른 결핵 질환의 적용 범위 중 진단받은 질환의 특성상 MRI 촬영이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는 경우 별도로 인정한다.
마. 산정기준
1) 상기 가.~라. 의 경우 영상진단료는 아래와 같이 표준영상을 획득하고, 판독의가 판독소견서를 작성·비치한 경우에 산정하며, 판독소견서 기재 범위는 아래와 같다.
- 아 래 -
가) 표준영상의 범위
(1) 흉부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또는 지방억제 축 상면 T2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T2WI)
② 절편: 두께 5mm 이하, 간격 3mm 이하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조영제 주입 전·후의 T1 강조영상(축 상면을 포함한 2개 이상의 축으로 구성된 단면 영상)을 획득함.
(2) 유방
① 1.5 테슬라 이상의 장비에서 유방 전용 코일을 사용하여 복와위 자세(prone position)로 양측 유방을 촬영함.
②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 단, 축 상면(axial)을 시상면(sagittal)으로 대체할 수 있음.
③ 절편
- T1 강조영상: 두께 3mm 이하, 간격 없음
- T2 강조영상: 두께 7mm 이하, 간격 없음
④ 조영제 주입 후 촬영: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은 지방억제 기법(fat-suppressed technique)을 적용하거나 또는 감산(subtraction) 영상을 포함함. 조영제 주입 후 60~120초 사이에 초기 조영증강 영상을 얻고, 조영제 주입 후 4분 이후에 촬영된 후기 조영증강 영상을 얻어야 함. 조영제 주입 후 4~5회의 역동적 조영증강 영상을 획득할 것을 권고한다. (단, 두께 3mm 이하, 간격 없음, 시간 해상도(temporal resolution) 120초 이하)
⑤ 3차원 영상 획득 시 3차원 최대 강도 투사 영상(maximum intensive projection)을 포함할 것을 권고한다.
(3) 흉부 혈관
- 혈관 영상을 위한 재구성 영상
(4) 복부 (크론병)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2D thick slab MRCP-like 영상
- 관상면 T2 강조 HASTE 영상(coronal T2W HASTE image)
- 지방억제 관상면 T2 강조 HASTE 영상(fat-suppressed coronal T2W HASTE image)
- 지방억제 축 상면 T2 강조 HASTE 영상(fat-suppressed axial T2W HASTE image)
② 절편
- 축 상면 또는 관상면 T2 강조영상: 두께 8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320 이상(최소 256 이상)
- 지방억제 T2 강조영상: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320 이상(최소 256 이상)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 조영제 주입 전·후의 지방억제 관상면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coronal T1WI)을 획득함. (단,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320 이상(최소 256 이상))
- 다중 영상(multiphase image)을 획득할 수 있다.
(5) 골반
(가) 직장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 시상면 T2 강조영상(sagittal T2WI)
② 절편
- 축 상면 T2 강조영상: 두께 4mm 이하, 간격 1mm 이하, 격자수 한 축에서 256 이상, FOV 220 × 220 이하
- 시상면 T2 강조영상: 두께 5mm 이하, 간격 1mm 이하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조영제 주입 전·후의 지방억제 축 상면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T1WI) 또는 지방억제 시상면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sagittal T1WI)을 획득함. (단, 두께 5mm 이하, 간격 1mm 이하)
(나) 골반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 시상면 T2 강조영상(sagittal T2WI)
- 관상면 T2 강조영상(coronal T2WI)
- 단, 자궁의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자궁에 직각인 T2 강조영상(oblique T2WI)을 추가할 것을 권고하며, 난소 종양의 경우는 지방억제 축 상면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T1WI)을 추가할 것을 권고함.
② 절편: 두께 4mm 이하, 간격 1mm 이하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조영제 주입 후 2개 이상의 수직면 T1 강조영상을 획득함.
(6) 췌장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또는 관상면 T2 강조영상(coronal T2WI)
- 지방억제 축 상면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T1WI)
- 화학 전위 영상(in & opposed phase)
② 절편
- 축 상면 또는 관상면 T2 강조영상: 두께 8mm 이하, 간격 2mm 이하,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 지방억제 T1 강조영상: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 3차원 경사자장(Gradient) 지방억제 축 상면 조영증강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contrast-enhanced T1WI)을 획득함. (단,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 다중 영상(multiphase image)을 획득할 수 있음.
(7) 신장 및 부신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또는 관상면 T2 강조영상(coronal T2WI)
- 지방억제 축 상면 T2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T2WI)
- 화학 전위 영상(in & opposed phas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② 절편: 두께 4mm 이하, 간격 1mm 이하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 3차원 경사자장(Gradient) 지방억제 축 상면 조영증강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contrast-enhanced T1WI)을 획득함. (단,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 다중 영상(multiphase image)을 획득할 수 있음.
(8) 음낭 및 음경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 시상면 T2 강조영상(sagittal T2WI)
- 관상면 T2 강조영상(coronal T2WI)
② 절편: 두께 4mm 이하, 간격 1mm 이하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조영제 주입 후 2개 이상의 수직면 T1 강조영상을 획득함.
(9) 간
①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 축 상면 Heavily T2 강조영상(echo time 140 ms 이상)
- 화학 전위 영상(in & opposed phase)
② 절편
- 축 상면 강조영상: 두께 8mm 이하, 격자수 T1 강조영상은 256 × 192 이상, T2 강조영상 256 × 160 이상
③ 조영제 주입 후 촬영
- 3차원 경사자장(Gradient) 지방억제 축 상면 조영증강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contrast-enhanced T1WI)을 획득함. (단,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 다중 영상(multiphase image)을 획득할 수 있음.
(10) 담췌관
① 1.5 테슬라 이상의 MRI 장비에서 촬영
②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2D thick slab MRCP 또는 3D MRCP 재구성 영상(단, 3D MRCP는 thin section 영상을 포함함.)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또는 관상면 T2 강조영상(coronal T2WI)
- 화학 전위 영상(in & opposed phase)
③ 절편
- 3D MRCP: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 축 상면 또는 관상면 T2 강조영상: 두께 8mm 이하, 간격 2mm 이하,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④ 조영제 주입 후 촬영
- 3차원 경사자장(Gradient) 지방억제 축 상면 조영증강 T1 강조영상(fat-suppressed axial contrast-enhanced T1WI)을 획득함. (단, 두께 5mm 이하, 간격 없음, 격자수 한축에서 256 이상)
- 다중 영상(multiphase image)을 획득할 수 있음.
(11) 전립선
① 1.5 테슬라 이상의 MRI 장비에서 촬영
② 맥동파 순서 열(Pulse sequence)
- 축 상면 T1 강조영상(axial T1WI)
- 축 상면 T2 강조영상(axial T2WI)
- 시상면 T2 강조영상(sagittal T2WI)
- 관상면 T2 강조영상(coronal T2WI)
③ 절편: 두께 4mm 이하, 간격 1mm 이하
④ 조영제 주입 후 촬영: 3차원 경사자장(Gradient) 축 상면 역동적 조영증강 T1강조영상(axial dynamic contrast-enhanced T1WI)을 획득함.
⑤ 반드시 b-value 1000 s/mm2 이상을 적용한 확산 강조영상 검사를 함께 시행하여야 함.
(12) 복부 혈관: 혈관 영상을 위한 재구성 영상
(13) 단, 3차원 MRI 영상을 획득하여 다양한 평면이나 절편 간격으로 재구성한 영상을 적용하는 경우 표준영상을 변경할 수 있음.
나) 판독소견서 기재 범위
(1) 임상정보(병력, 검사 실시 사유 등), 획득한 영상기법, 조영제 사용 여부
(2) 각 부위별 주요 이상소견 여부를 포함하되, 이상이 있는 경우 세부내용(병소의 해부학적 위치, 병소의 양상 등)을 상세 기술함.
(가) 흉부: 종양의 위치, 개수, 크기, 형태적 특징, 인접 장기 침범 여부, 임파절 전이 등
(나) 유방: 종양의 위치, 개수, 크기, 형태적 특징, 인접 장기 침범 여부, 임파절 전이 등
(다) 흉부 혈관: 협착, 폐색, 동맥류 등
(라) 복부
- 크론병: 병변의 침범 범위(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장벽 비후 여부, 주변 장간막 변화, 림프절 비대, 누공, 농양의 유무 등
- 복강 내 간담췌 이외 기관의 종양: 종양의 위치, 개수, 크기, 형태적 특징, 인접 장기 침범 여부, 임파절 전이 등
- 임산부 충수돌기염: 충수돌기의 유무, 염증 소견 및 충수석의 유무, 주변 농양 및 맹장 벽 비후, 림프절 비대 등
(마) 골반
- 직장암: 항문, 직장, 원위 에스자 결장의 종양 유무 등
- 직장암 이외: 골반 장기 내의 이상 유무, 악성 종양의 경우 병기 결정에 필요한 주변 조직 침범 여부, 림프절 비대 여부 등
(바) 췌장: 종양, 췌장염, 췌관 확장 유무 등
(사)신장 및 부신: 양측 부신 종괴 여부, 양측 신장 종괴 여부, 대동맥 주위 림프절 비대 등
(아) 음낭 및 음경: 고환 내 병변 유무, 고환 백색 막 손상 유무, 부고환을 포함한 양측 음낭 내 이상 소견 유무
(자) 간: 간의 형태 및 동반질환(간경화, 문맥 혈전, 복수, 측부 혈관 등), 간 종양의 유무 등
(차) 담췌관: 담석, 췌석, 담췌관 확장, 종양, 염증, 농양의 유무 등
(카) 전립선: 전립선 용적, 전립선 내 병변(암) 유무(PI-RADS 기준), 전립선 암의 전립선 밖 침범 여부, 정낭 침범 여부, 기타 전립선 이상 여부(염증, 전립선 비대, 낭종), 림프절 및 골반뼈 전이 여부 등
(타) 복부 혈관: 협착, 폐색, 동맥류 등
2) 상기 마. 1) 이외 별도로 규정하지 않은 산정기준은「방사선 영상진단의 판독료 산정기준」에 의함.
2. 상기 1. 에 해당하지 않은 경우 비 급여하되, 이때 담당 진료의가 충분히 설명하고 환자가 동의서에 서명하여야 한다.
(고시 제2019-229호, 2019.11.1. 시행)
댓글